지난호보기 E-Book
지난호보기 E-Book
2024년 지방공공기관 혁신 우수사례 대상 광주광역시관광공사
광주관광의 ‘판’을 바꿀
관광×MICE(마이스) 통합기관
「광주광역시관광공사」 출범
MICE 산업 육성을 위한 김대중컨벤션센터와 관광과 국제적 도시마케팅 전담 조직인 광주관광재단이 합쳐져 광주를 새롭게 ‘브랜딩’하고 광주관광의 ‘판’을 바꾸기 위한 ‘광주광역시관광공사’가 탄생했다. 전국 7번째 관광공사인 광주광역시관광공사(사장 김진강, 이하 ‘광주관광공사’)는 관광과 MICE의 활성화를 통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어 ‘재미와 활력이 넘치는 익사이팅 광주’를 실현하고자 ‘광주의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관광마이스 통합플랫폼’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구조·사업(관광/MICE)·경영 3대 분야의 혁신을 통한 ‘광주관광 컨트롤타워’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계획이다.

유연숙(광주관광공사 기획조정실 차장)
이미지
광주광역시관광공사 통합 출범 배경
‘새정부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 라인(’22.7.)’ 발표에 따라 광주시 공공기관 구조혁신은 경영효율성 제고와 시민에 대한 책임성 강화에 방점을 두고 △유사·중복 기능 조정 및 민간 경합사업 정비 △기능중심의 조직 통합 및 기능 강화 △통합에 따른 고용보장 등 3대 기본원칙에 따라 추진됐고, 광주 관광전략과 관광산업에 대한 기획력 강화 및 MICE산업 전·후방 선순환 생태계 구축이라는 막중한 역할을 부여받았다.
김대중컨벤션센터-광주관광재단 통합 추진 절차
광주광역시와 3자 간 구조혁신 실무추진단을 구성하여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였다. 시 유관 부서에서는 공공기관 구조개혁 추진을 위한 표준 운영 매뉴얼을 마련하고, 통합 관련 법적 검토 등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김대중컨벤션센터는 통합추진계획을 수립하고 통합 전후 행정 절차를 추진하였으며, 광주관광재단은 해산 관련 행정 절차를 이행했다. 구조혁신 실무추진단을 중심으로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졌고 비교적 빠르게 행정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중점 혁신 방향에 따라 김대중컨벤션센터의 전시컨벤션센터 관리·운영·임대, 전시회 개최 등 MICE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과 광주관광재단의 국내외 관광홍보 및 마케팅, 관광객 유치 등 관광사업 전문 기관으로서의 각 고유 전문 기능은 강화하였다. 국제회의 참가 지원 등 유사·중복 기능은 통합하여 관광마이스 사업 컨트롤 타워로 재탄생했다.
이미지
이미지
혁신 포인트 공사 통합 출범 이후 5대 추진 성과
① 경영효율화 광주광역시관광공사 출범, 「新 전략체계」 수립
시정 관광비전인 ‘재미와 활력이 넘치는 익사이팅 광주’ 실현을 위해 설립목적인 미션을 ‘관광·마이스(MICE) 산업 육성으로 시민의 편의 도모와 복리 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로 신규 설정하고, 내부 공모를 통해 신규 비전을 ‘광주의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관광마이스 통합플랫폼’으로 설정했다. 이후 중장기 경영효율화 계획으로 구조/사업(관광/MICE)/경영혁신 등 3대 혁신목표 12대 전략과제를 수립하였고, 2026년 광주 도시이용인구 3천만 시대 견인을 목표로 해당과제를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② 구조혁신 「사업 중심 조직 개편」으로 유기적이고 슬림화된 효율적 조직 구축
핵심사업을 관광사업, 관광정책 사업, MICE 사업, 신규사업 등 4개 분야로 재정립하고, 고유사업 역량강화 및 중복 기능 효율화를 위해 기존 4개 팀을 폐지하고 1본부 1실 6팀으로 통합 효율화하였다. 사업부서 직원은 전체 직원의 64%에서 72%로 확대 배치하고, 임원 포함 관리직은 13명에서 9명으로 30% 축소하는 등 실무형 조직을 구축하였다.
③ 역량강화 「저효율 사업 폐지, 유사·중복 사업 통합」 등 효율적 자원 활용
공사 중장기 경영효율화 계획(’23.11.)에 따라 기존 관광·마이스 사업 중 구조조정 대상 사업을 선정하여 통폐합하고, 관광 분야 6개 사업은 신규 추진하였다. 저효율 전시회 개최 방식 변경 및 저효율·저성과 사업의 과감한 폐지로 총 47억 8천만 원의 예산을 절감하고 신규 수익을 창출하였다. 또한, 관광·마이스 사업 조정을 통해 인적자원 7명을 중점 추진사업에 재배치하여 인력운영을 효율화하였다. 추후 사업 성과분석을 통해 사업 효율화 및 수익성 강화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며 저효율 사업 민간 이양을 통해 광주 관광 생태계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미지
④ 재무건전성 「수익성 Up, 지출 Down, 외부재원 More More!」 재무건전성 개선
사업 역량을 강화한 결과 2023년 기준 매출액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역대 최대 매출액 239억 원을 기록하였고, 판매비와 관리비는 3.9억 원 절감하였다. 예산 절감 목표액은 약 5배 초과 달성하였으며 인건비 외부 재원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확보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통합 출범 첫 해 수익성은 전년 대비 약 32% 개선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이미지
⑤ 지역사회 문제해결 「방문자 경제 활성화」로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대응
지역관광 프로그램 확대(전년 대비 50% 증가), MICE 행사 개최 확대(전년 대비 5% 증가) 등 전방위적 관광·MICE 행사 추진으로 2023년 기준 광주 관광객은 668만 명(전년 대비 6% 증가)을 기록하였다. 공사 고유사업을 통해 생활 인구 유입 확대 및 방문자 경제 활성화로 지역 정주인구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향후 체류형 관광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특색있는 관광인프라 확충 사업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이미지

광주광역시관광공사 김진강 사장

광주는 광주관광공사의 출범을 기점으로 예전의 광주와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G-페스타 광주’라는 축제 통합브랜드를 기획하고 추진하여 광주의 가을을 축제로 뜨겁고 아름답게 물들였고, AI 기반의 수요응답형 교통서비스인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의 성공적 운영을 통해 관광객 수용태세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최근 광주에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기아타이거즈의 V12 달성 등 전례 없는 좋은 소식들이 가득했습니다. 또 대형복합쇼핑몰(현대 더 숲, 스타필드, 광주신세계백화점 리모델링)의 개장이 차질 없이 진행 중에 있고, 국가프로젝트인 남부권광역관광개발사업, 영산강 100리길 Y프로젝트, 광주-대구 간 달빛철도건설 등 광주관광의 ‘판’을 바꿀 기회들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광주관광공사는 앞으로도 지역을 대표하는 자랑스러운 공기업으로 시민들에게 기억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instagram youtube blog

(우) 06647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30길 12-6 (지번) 서초동 1552-13

Copyright(c) Evaluation Institute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