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고는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와 성과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17 (2021): 45-72.의 이론적 배경, 분석틀,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내용을 지면 분량의 제약으로 게재하지 못했음을 알립니다. 더욱더 상세히 본고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면 출판된 논문을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2)
조직은 조직을 둘러싼 환경의 불확실성과 정보의 수집 및 활용 등에 대한 한계로 인한 제약을 받기 때문에 제한된 합리성에 따른 의사결정은 조직의 의사결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Cyert and March, 1963). 따라서 의사결정자는 조직의 열망 수준을 기준으로 하여 현재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바람직한 수준의 성과 즉, 만족할 수 있는 최소의 성과를 조직의 목표를 설정하는데, 이때 조직의 열망 수준은 조직의 과거 성과(또는 역사적 열망 수준, historical aspiration level)와 경쟁 조직의 성과(또는 사회적 열망 수준, social aspiration level)가 될 수 있다(Cyert and March, 1963; Schneider, 1992; Greve, 2003).
3)
지방공기업 경영평가는 지방공기업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의제된 경쟁기제로, 경영평가 결과 지방공기업은 유형별로 평점에 따라 등급(가등급 - 마등급)을 부여받는다. 특히 개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결과보고서에서는 해당 지방공기업이 포함된 유형의 평균 평점을 같이 공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개별 지방공기업은 자신들의 실제 성과와 비교 가능한 다른 지방공기업의 평균 성과(사회적 열망 수준)를 비교할 수 있다. 현재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체제에서 지방공기업은 사회적 열망 수준에 기반하여 목표를 설정하고자 할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경영평가 결과 사회적 열망 수준보다 높은 평점을 받는 지방공기업과 사회적 열망 수준보다 낮은 평점을 받은 지방공기업의 성과 피드백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4)
비교 가능한 다른 조직의 성과(사회적 열망 수준)뿐만 아니라 과거 자신의 성과(역사적 열망 수준) 역시 조직의 열망 수준이 될 수 있다. 개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보고서에서는 해당 지방공기업의 당해연도 평점뿐만 아니라 전년도 평점을 같이 공개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역사적 열망 달성 여부에 따라서도 지방공기업의 성과 피드백이 다를 수 있음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즉,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가 비교 가능한 동일 유형 지방공기업의 평점을 바탕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지방공기업의 성과 피드백이 사회적 열망 수준과의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사회적 열망 수준과의 차이에 따른 성과 피드백이 역사적 열망을 달성한 지방공기업보다 그렇지 않은 지방공기업에서 더욱 잘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