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가덕산풍력발전 사업 추진 배경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 중립 및 청정에너지 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정부의 공격적인 재생에너지 3020 사업 보급 정책 확산의 일환으로 청정에너지인 바람을 이용하는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상풍력발전과 달리 태백가덕산풍력발전은 지상에 거대한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이 때문에 풍력발전사업 진행 시 가장 큰 어려움 중의 하나인 ‘주민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태백가덕산풍력발전은 사업 준비단계부터 지역주민이 사업에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주민참여형 사업 모델을 직접 개발하고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발전소 주변 주민들이 풍력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직접 투자하여 참여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고, 이러한 자발적 투자 행위를 통해 장기간 안정적으로 발전소 이익을 분배함으로써 지역주민과의 상생을 도모하였다.
탄소 중립과 그린 뉴딜 실현을 위해 무한자원인 바람을 이용한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타 형태의 발전소보다 환경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 1단계 사업 현황>
위치: 강원도 태백시 원동 산 97 일원
시설 규모: 43.2MW(3.6MW × 12기)
공사 기간: 2018.11.16~2021.10.30
출 자 사: 강원도, 태백시, 한국동서발전㈜, 코오롱글로벌㈜, ㈜동성
총사업비: 1,250억 원
주민참여형 사업이란
발전소 주변 1km 이내 읍·면·동에 거주하는 주민(5인 이상)단체가 일정 비율(해당 발전소의 총사업비의 2%, 4%에 해당하는 금원)의 금원을 해당 발전소에 투자하였다. 즉 해당발전소 건설에 직접 투자자로 참여하는 사업으로, 참여하신 주민단체에게는 일정 부분의 발전소 수익을 환원받게 되는 구조이며, 지역주민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수익 환원형 구조의 사업이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의 주민참여형 사업 개요
발전단지 인근 마을 주민들이 마을기업을 설립하고, 설립된 마을기업은 채권 형식으로 풍력발전사업에 투자하였다. 여기서 마을기업은 채권투자를 위한 자금을 태백시민펀드와 한국에너지공단의 정책자금으로 조달하였으며, 투자를 받은 발전사는 채권 투자 금원에 대한 금리를 발전소 운영 수익으로 환원하고 있다.
주민참여형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사업은 태백시에 소재하는 법인으로써 공공자원인 풍력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점 등을 고려 풍력발전단지 반경 1km 이내 주민과 더불어 태백시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에게도 발전소 이익 환원을 목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였다. 풍력사업에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주민이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온라인 금융 플랫폼을 개설 주민참여형 태백시민펀드 상품을 오픈하였다.
해당 펀드는 태백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한 금융 상품이며, 향후 장기간(20년) 8.2%대 금리(세전)의 펀드 투자수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및 가계소득 향상에 기여 지역주민들에게 매우 좋은 호응을 얻었다. 펀드 모집이 끝난 후에도 추가 펀드 모집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창출된 수익의 활용
창출된 수익은 지역주민들이 설립한 마을기업을 통해 이익이 분배될 예정이다. 예를 들면 풍력발전단지 지역주민들의 생업인 농·임업 지원(농기구 구매, 비료구매, 창고 시설 구축 등), 마을 공동시설의 개보수 지원, 인근 학생들을 위한 장학사업 지원, 지역주민들의 건강복지 지원 등을 통해 최대한 많은 지역주민들에게 양질의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활용할 계획이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사업의 기대 효과
지자체-발전사업자-지역주민이 상생 가능한 풍력단지가 조성됨으로써 건설, 사무 등 분야별로 지역 건설업체 및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 발전소 주변 마을의 상수도 급수관 개설 공사 시행 및 마을 숲 가꾸기 사업 추진을 통한 마을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 지역 세수 증가 등에 힘쓰고 있는 중이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 2단계 사업 또한 주민참여사업으로 추진 중이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를 통한 지역 주민과의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사업의 효용성
태백가덕산풍력발전소의 환경 성과
*SK 사회적가치(SV) 환경적 측정 기준
태백가덕산풍력발전 주민 참여 사업 모델